서론
공유기를 사용하다보면 인터넷이 안될 때도 있고
네트워크 환경구성을 어떻게 해야하나 싶을 때도 있습니다.
잘 안되면 물어볼때도 마땅치 않고 인터넷에서 찾아보자니
어떤 단어를 검색해야 할지도 모를 때가 있고요.
다 예기할 순 없지만 몇가지 문제를 다루고자 합니다.
방에서 와이파이가 잘 안되는 경우 - 확장기 (증폭기)
집에 설치한 공유기들은 대부분 거실에 있습니다.
당연히 집안에서 가장 중심이 될만한 위치에 있어야 겠지요.
문제는 방에서 와이파이를 쓰고 싶은데
느리거나 끊김이 자주 발생할 때가 있어요.
방과 공유기 사이의 거리가 멀거나
방문이나 벽 등으로 장애물이 있다면 이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론 방안에 벽포트가 있고 인터넷이 된다면
랜선으로 연결하면 해결이 됩니다.
벽포트가 없거나 인터넷이 안될때 대표적인 해결책인
확장기(증폭기)가 있습니다.
방에 증폭기를 설치해서 거실에 있는
공유기의 와이파이를 받아서 증폭하면
더 원활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집에서 사용되는 인터넷은 한정되어 있어서
증폭을 한다고 해도 인터넷 총량이 확장 되는것은 아니니
기기가 많아서 느린거라면 인터넷 서비스를
기가인터넷으로 바꾸셔야 합니다.
회사, 혹은 공공장소에서 랜포트가 부족한 경우 - 랜허브
인터넷이 연결되어야 하는 컴퓨터는 많은데 랜포트가 부족한 경우가 있습니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포트가 많은 공유기를 선택할 수도 있겠지만
공유기의 와이파이도 쓰고 싶고 포트도 많게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제품이 잘 없기도 하고요.
공유기는 있는데 포트가 부족할 때도 있고요.
이럴때 사용할 수 있는게 랜허브 입니다.
랜허브는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지만
공유기에 물려서 사용하면 랜허브의 포트만큼
랜포트를 늘려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유기와 연결을 했는데 노란색 느낌표가 뜰 때 - ip 주소 충돌
공유기를 설치하고 유선으로 혹은 와이파이로 연결했는데
노란색 느낌표가 보이면서 인터넷이 안될때가 있습니다.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겠지만
ip 주소 충돌인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한 집안에서 공유기 여러개를 사용한다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집에 들어오는 ip는 한개이고 공유기를 사용하는 것은
이 ip를 여러개로 쪼개서 사용하는 겁니다.
쪼개는 과정에서 공유기는 하나의 서버가 된다고 보시면 되고
이 서버도 ip가 있는데 공유기가 추가되면서
똑같은 서버 ip가 2개가 생긴다면 충돌이 발생하게 됩니다.
(**쪼갠다고 예기했지만 정확하게는 게이트웨이라고 불리는 기능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공유기1의 ip주소1 과
공유기2의 ip 주소2 이 같다면
ip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이죠.
그래서 두 공유기중 하나의 ip 주소를 바꿔서 충돌을 피해야해요.
바꾸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iptime 공유기 기준으로 예기드리겠습니다.
다른것도 비슷하니 참고하시면 되요.)
공유기와 연결된 컴퓨터에서
윈도우 + r 버튼을 누르고 "cmd" 를 입력합니다.
"ipconfig" 를 입력합니다.
유선으로 연결했으면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의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가 공유기의 ip 주소가 되겠습니다.
와이파이로 연결했으면
무선 LAN 어댑터 Wi-Fi의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가 공유기의 ip 주소이니 확인해두셔요.
그리고 인터넷 창을 하나 열으시고
http://xxx.xxx.xxx.xxx
xxx~~ 에 공유기의 ip주소를 입력해주세요.
처음 접속하시는거라면 id에 admin 비밀번호에 1111 일겁니다.
로그인하고시고 관리도구로 들어가주세요.
고급 설정 들어가서 내부 네트워크 설정 들어가시면
내부 ip주소 가 보일거에요.
접속할 때 봤던 공유기 주소하고 똑같은데요.
xxx.xxx.xxx.xxx
세번째 있는 숫자를 바꿔주시면 되겠습니다.
왜냐하면 보통 네번째 있는 숫자는 다른 공유기에서 기기들에 할당해주는 ip주소일 수 있어요.
바꾸셨으면 저장하고 나오시면 됩니다.
(**사실 꼭 세번째 아니고 네번째만 아니어도 됩니다.
세번째가 가장 편해서 예기드렸습니다.)
마무리
여기까지 읽으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이 외에도 많은 문제들이 있는데 대표적인 문제 몇가지와
간단한 해결방법을 예기드려 봤습니다.
이후에도 관련 문제들과 해결책들 계속해서
추후 포스팅을 통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읽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였길 바라겠습니다.
'IT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사양에 대한 이해 - 1 , cpu? ram? (0) | 2021.09.20 |
---|---|
외장하드 고르는 법, hdd? ssd? (0) | 2021.09.14 |
집에서 와이파이 사용하는법, 공유기 고르는법 (0) | 2021.08.30 |
무선 키보드 마우스 고르는 방법. USB리시버와 블루투스 (0) | 2021.08.22 |
영상 편집용 노트북 고르는 법 (0) | 2021.08.16 |